반응형
EXSI에서 공유 Disk 생성하는 방법이다. Step 1번의 경우에는 EXSI Local에 직접 붙어 공유 디스크를 생성하는 명령이며 Step 2부터는 Step 1에서 생성 된 디스크를 가지고 해당 노드에 넣는 방법을 소개한 것이다. 공유 볼륨이 아니라면 Step 2번 부분에서 새 가상 디스크 생성을 통해 Disk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RAC의 경우에는 Disk 셋팅만 잘 된다면 설치에 큰 문제가 없지만 Disk 셋팅이 생각보다 복잡하고 어려움으로 확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는 부분이다.
친절한 아잇티에게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글, 사진 ▶ 아잇티
# 사진을 제외한 제 블로그의 모든 글들은 공유 가능합니다.
# 공유 시 출처 및 댓글은 센스있게 부탁드립니다.
# 해당 포스팅 내용 외에 궁금한 점이나 추가사항은 댓글 부탁드립니다.
# 저는 친절합니다. 다가오세요... 해치지 않아요!
Step 1. EXSI Local에서 디스크(공유볼륨) 생성
자신이 활용할 용도와 size에 맞게 Disk를 생성해준다. 아래 생성의 경우 size와 이름은 필자가 테스트를 위해 생성한 부분이기 때문에 RAC를 설치할 유저라면 해당 목적에 맞게 Disk를 추가하도록 하자.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5g ACFS1.vmdk
Creating disk 'ACFS1.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5g ACFS2.vmdk
Creating disk 'ACFS2.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5g ACFS3.vmdk
Creating disk 'ACFS3.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5g ACFS4.vmdk
Creating disk 'ACFS4.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15g ACFS4.vmdk
Creating disk 'ACFS4.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15g DATA1.vmdk
Creating disk 'DATA1.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15g DATA2.vmdk
Creating disk 'DATA2.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15g DATA3.vmdk
Creating disk 'DATA3.vmdk' and zeroing it out...
[root@localhost:/vmfs/volumes/ACFS_SHARED] vmkfstools -d eagerzeroedthick -c 15g DATA4.vmdk
Creating disk 'DATA4.vmdk' and zeroing it out...
Step 2. Shared Disk Volume 추가
RAC의 경우 해당 Step은 RAC node 1, RAC node 2번에 동일하게 진행해준다. 그게 아니라 기존에 설치 된 OS에 Disk만 추가하고 싶다면 Step 1은 스킵한 뒤 새로 절차에서 디스크 선택 시 새 디스크 추가를 통해 추가를 진행하면 되겠다.
아래의 설명은 RAC 설치 시 Step 1에서 생성한 Disk를 Shared Disk Volume으로 추가하는 방법이다.
해당 노드의 편집메뉴 화면이다. 추가 버튼을 클릭한다.
하디 디스크를 선택한 뒤 다음을 클릭한다.
Step 1에서 추가한 Disk를 추가할 것이기 때문에 기존 가상 디스크 사용을 선택한 뒤 다음을 클릭한다. 만약 Shared Disk가 아닐 경우에는 새 가상 디스크 생성을 클릭하여 생성을하여 사용하면 된다.
디스크를 하나하나 추가를 해 주도록 한다. 원하는 디스크를 선택하고 열기를 선택한다. 해당 절차를 모든 디스크를 추가를 반복하도록 한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Local Disk의 경우 SCSI의 컨트롤러 0번을 사용했다면 여기서 추가되는 컨트롤러는 1:0부터 사용하도록 한다.
앞 전에 설명한 SCSI 컨트롤러를 1:0부터 사용하게 되면 SCSI 컨트롤러 1이 추가될 것이다. 기존에 사용한 것은 0번이 될 것이다. 이렇게 추가된 SCSI 컨트롤러를 선택하여 가상을 선택하도록 하자. 이렇게 해야 컨트롤러에서 양노드에 Disk를 공유해줄 수 있기 때문이다.
제 블로그의 내용이 도움이 되셨나요?
▼▼▼▼▼▼▼▼▼▼▼
여러분의 공감과 댓글이 아잇티에게 큰 힘이됩니다 :)
반응형
'과거자료 > O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RHEL7(Linux) Multipath 설정 (2) | 2018.07.06 |
---|---|
Linux] LVM(PV, VG, LV) 관리 방법 생성, 삭제, 조회, 추가 (1) | 2017.12.14 |
Linux]Mount된 CD의 rpm을 yum으로 설치하는 방법 (0) | 2017.12.11 |
NT Windows 사용포트 확인하는 방법 (0) | 2017.11.03 |
Linux CPU 확인 명령 (0) | 2017.1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