핸드폰 백업과 편의성을 동시에 - 네이버 클라우드
·
과거자료/유용한 앱 & 소프트웨어
포스팅에 들어가며 요즘 클라우드라는 단어는 너무나도 많이 쓰인다. 하지만 왜 클라우드인지, 클라우드의 개념은 무엇인지 아는 사람은 별로 없는 것 같다. 요즘 점점 클라우드가 IT에서는 대세가 되고 있다. 그렇다면 클라우드란 무엇일까? 구름을 영어로 클라우드라고 한다. 그럼 왜 IT에서는 클라우드라는 명칭을 선택했을까? 필자가 생각한 답은 우리 언제 어디서나 하늘만 바라보면 볼 수 있는 구름이라서가 아닐까싶다. 조금 쉽게 얘기해보면 늘 하늘에 떠있는 구름을 보듯이 우리는 언제 어디서고 늘 접근하여 데이터를 확인하고 읽고 쓸 수 있기 때문이라는게 필자의 생각인 것이다. 또한 클라우드의 가장 큰 장점은 '하늘에 떠 있는 것'이다. 내 데이터를 외장하드나 서버에 저장해 두었는데 외장하드를 분실하거나 데이터를 갖..
32비트와 64비트 각 OS별 bit수 확인하기
·
과거자료/OS - Linux
포스팅에 들어가며 소프트웨어 설치시에 우리는 흔히 32bit용 64bit용을 보게된다. 지금은 64bit가 상용화되어 대부분 앞뒤 안보고 64bit용 프로그램을 선택하여 설치를 하곤 한다. 하지만 윈도우즈 뿐 아니라 unix나 linux에서는 해당 bit수에 따른 소프트웨어 설치가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꼭 확인하고 설치를 해야한다. 그렇다면 운영체제의 bit는 무엇이고 어떻게 확인하는지 천천히 한번 살펴보자. 컴퓨터에서 bit란 무엇인가? bit란 'Binary Digit'의 약자로써 컴퓨터에서 사용되는 최소단위이다. 컴퓨터는 0과 1로만 표현한다는 것은 많이 들어보았을 것이다. 이진법을 사용하여 2를 곱해 표현 가능한 총 경우의 수를 알 수 있다. 2진법에서 2자리로 표현 가능한 경우의 수는 2*2..
알신쓸잡]키보드 선택의 기준? 키보드의 모든것!
·
과거자료/IT 관련 잡지식
알수록 신기할 정도록 쓸데없는 잡지식 세번째 이야기이다. 지난 디스플레이 선택에 이어 이번에는 누구나 사용하는 키보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우리가 일상에서 사용하는 키보드. 모양부터 키갯수 심지어는 키 밑이 종류별로 다르다는 것도 알고 계셨나요? 우리가 마우스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하는 컴퓨터 주변기기인 키보드에 대해 쓸데없는 이야기 시작해보자. 아는 부분은 빠르게 skip을 하면 되고 혹시나 쓸만한 정보는 Pick해가면 된다. 키보드의 종류 키보드는 보통 윈도우를 주 OS로 사용하게 되면서 윈도우키 포함! 106키보드를 사용한다. 풀배열이라고도 불린다. 여기서 우측에 NumLock과 함께있는 숫자배열이 없는 키보드를 우리는 텐키리스 키보드라고 칭하게 된다. 이건 배열에 따른 명칭이 되겠다. ..
알신쓸잡]TV/모니터 선택 기준? 디스플레이의 모든것(2부)
·
과거자료/IT 관련 잡지식
알수록 신기할 정도로 쓸데없는 잡지식 두번째 이야기이다. 오늘은 지난 번 1부에 이어 TV의 기능적인 측면에 중점을 두어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지난 번엔 TV / 모니터에 모두 적용되는 용어대 대한 부분을 다뤘다면 오늘은 UHD에 대해 이야기를 해본다. LED vs QLED vs OLED 얼마전 지상파가 UHD를 선언한 만큼 UHD가 대세이다. UHD TV 사이에서는 또한 광원 소자를 가지고 LED, QLED, OLED로 나눠 전쟁을 치루는 중이다. LED는 대부분 중소기업 TV에서 판매하는 제품으로 값이 싼대신 확실히 Q, OLED에 비해 암부 표현이나 색감이 많이 떨어지는게 사실이다. 일단 삼성전자에서 대세인 QLED는 퀀텀닷 LED라고 하여 기존 LED TV에 양자점 시트를 입혔다고 보면된다. 이..
알신쓸잡]TV/모니터 선택 기준? 디스플레이의 모든것(1부)
·
과거자료/IT 관련 잡지식
알수록 신기할 정도로 쓸데없는 잡지식을 전달해볼까 한다. UHD 시대를 맞아 TV나 모니터 구매 혹은 교체를 많이 할 것 같다. 그래서 이 때 봐야할 항목, 혹은 평소 이건 무엇인가? 할만한 것들을 2편에 걸쳐 포스팅을 진행해보려한다. 필자 역시 드라마, 영화, 예능, 야... 아니... 이러한 영상 매체를 보는 것이 한 가지 취미생활이다. 그리고 컴퓨터와는 뗄 수 없는 직업이다보니 모니터와 TV는 분리하여 사용하기도하고 듀얼 모니터로 사용도하고 있다. 내게 필요한 모니터는 어떤 것일까? 필자의 경우 위에서 언급했듯이 모니터 / TV에 굉장히 관심이 많다. 그러다보니 모니터도 많은 브랜드 및 여러 종류의 액정을 써봤고 TV도 중소기업부터 대기업까지 많은 제품들을 써봤다. 현재는 알파스캔 제품을 모니터로 ..
Oracle]MView / DB link를 사용한 테이블 동기화
·
과거자료/Oracle - Objects
PURPOSE Database의 중요성은 늘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데이터의 손실이 기업의 금전적 손실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필자가 A에게 돈을 100만원 입금했다. 근데 해당 거래 은행의 Database에 장애가 생겨 데이터가 날아갔다면...? 그 시간 데이터가 날아갔다고한다면 우리가 상상도 못할 금액인 것이다. 물론, 금융권의 Database는 이중화, 삼중화, 백업, DR 시스템 등등을 갖추어 놓았기 때문에 이런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필자가 이런 이야기를 꺼내는 이유는 무엇일까? 데이터가 중요한 만큼 우리는 언제 일어날 지 모르는 상황에 대비를 해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고객들의 니즈도 점점 운영은 물론 잘 돌아가야하는 것은 기본이고 백업이나 데이터 동기화에 관심이 많아졌다는 이야기..
네이버블로그에서 티스토리로 이사하다.
·
과거자료/내 일상... 주절주절
오늘 E끕님께서 초대장을 주신덕분에 티스토리에 가입하면서 티스토리에 입문을 하게되었다. 필자의 경우 기존에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을 했었다. 오랫동안 했던 것은 아니었고 대략 3~4개월 정도 운영하다가 여러가지 이유로 이사를하게 되었다. 네이버 블로그에서 티스토리로 오게 된 이유? 1. 완성도가 높은 블로그를 만들고 싶었다. 일단 IT에서 일은 하지만 전공 학과를 졸업하지도 않았을 뿐더러 처음 입문하게 된 교육자체도 Database로 입문을 하게되다보니 언어라고는 한국어 밖에 몰랐다... 아재개그 죄송합니다 그래도 나름 IT에서 일을 한다는 자부심일까? 그냥 정해진 틀과 클릭클릭으로 완성되는 포스팅보다는 제가 배우면 배울수록 완성도가 높은 개인 홈페이지에 가까운 블로그를 만들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었다..
Oracle]Materialized View Intro / Syntax
·
과거자료/Oracle - Objects
사실 저는 DBA가 아닙니다. 시작부터 지금까지 쭉 ORACLE DB 엔지니어로 지내고 있습니다. 물론 엔지니어라고해서 Objects에 대해서 몰라도 되는 것은 절대적으로 아닙니다. 하지만 엔지니어에게 Object는 사실 처음부터 접하기는 힘든 것이 사실이긴합니다. 이번 경우에도 as-is 서버와 to-be 서버로 특정 Table의 동기화를 특정 Product 없이, 예를 들면 OGG(Oracle Golden Gate)나 쉐어플렉스를 사용하지 않고 동기화할 필요가 생겼습니다. 그래서 사용하려는 방법이 Materialized View를 통해 Table 실시간 동기화를 하려고합니다. 앞으로 몇일간은 Materialized View와 Scheduler Job을 통한 동기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